23.04.26 부로 전기안전관리자 직무고시부분이 일부 개정이 되었습니다
주요 내용으로는 무정전전원장치에 대한 내용이며 이에 대한 점검절차를 마련하여 무정전전원장치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다는 것입니다
▶ 개정내용 시행일
2024. 7. 1 부터 시행
▶ 무정전전원장치 점검방법 서식 (별지 제 16호)
[별지 제16호 서식]
무정전전원장치 점검기록표
측정장비 : | (일기 : ) | 년 | 월 | 일 | |||
점검자 | (소 속) / (성 명) (서명) | ||||||
설비 현황 |
시설개요 | 시설장소 : 옥내 □ 옥외(컨테이너) □ 옥외(전용건물) □ 기타 □( ) CCTV 설치 여부 □, 상시 운영정보 별도장소 보관 여부 □ (보관기간: ) |
|||||
정격 사양 |
용도: 통신부하 □, 전산부하 □, 비상부하 □(소방, E/L등), 기타 □( ) | ||||||
방식: ON-LINE방식 □, OFF-LINE방식 □ ⦁비상전원공급 지속시간( ) | |||||||
전력변환장치 | ⦁정격용량: ⦁출력전압: ⦁제조사: ⦁제작번호: ⦁제작년월: |
||||||
이차전지 | ⦁종류 : ⦁용량: | ||||||
⦁제조사 : ⦁제작년월: | |||||||
NO | 항목 | 확인 사항 | 점검 결과 | ||||
1 | 일반 사항 점검 |
충전부분의 인체감전보호 등을 위한 방호 시설물 상태 | |||||
적재 하중 또는 진동과 충격에 안전한지 확인 | |||||||
전선 및 전선관, 접속단자 등 상태(손상, 열화, 변색 등) | |||||||
침수 및 누수우려, 수분(결로, 누수)여부 | |||||||
공조시설(급속배기장치 등) 작동 여부 확인 | |||||||
분진(먼지, 이물질) 등 설치장소 청결 상태 | |||||||
무정전전원장치 시설장소 표지 및 잠금장치 여부 | |||||||
작업공간 확보 및 조명장치 이상 여부 | |||||||
소방설비 상태 확인 | |||||||
비상 연락망 및 비상 매뉴얼 비치 여부 | |||||||
2 | 배터리 점검 |
배터리 관리시스템(BMS) 점검 ㆍ배터리 집합체의 출력단자 전압, 전류, 전력 ㆍ배터리 균등화 및 과충전, 과방전 기능 여부 |
|||||
배터리 단자의 접속 상태 확인 | |||||||
외함 변형, 파손 및 액 누출 여부 등 외관 점검 확인 | |||||||
동일구획 내 직병렬로 연결 시 식별을 위한 그룹별 명판 부착 상태 | |||||||
제조사 권장 온·습도 관리 적정 여부(현재의 온도: ℃, 습도: %) | |||||||
금속제 지지물 및 부속품 등 녹방지 처리 및 부식 여부 | |||||||
3 | 제어 및 보호장치 점검 | 통풍구, 환기필터 상태 확인 | |||||
배전반(보호 및 제어)의 계기, 경보장치 이상 유무 확인 (동기상태, 동기절체상태, 램프표시, 비상정지장치, 전압, 전류 등) |
|||||||
만(滿)충전 후 추가충전 여부 / 현재 충전율 설정값( %) | |||||||
4 | 기타 | 절연 및 접지저항 측정 | |||||
기타 기술기준 등 관련 규정 적합 여부 | |||||||
5 | 종합 의견 |
||||||
비고] 1. 점검결과는 ○(적합), ×(부적합), /(해당없음) 으로 표기
2. 20kWh를 초과하는 리튬·나트륨계와 70kWh를 초과하는 납계·니켈계·바나듐계 이차전지를 사용한 무정전전원장치에 적용한다.
▶ 무정전전원장치 직무고시 개정에 대한 주요내용
●무정전전원장치를 표준서식에 따라 월1회 이상 점검 실시 (제3조 제5항, 별지 16호서식)
(신설) 제3조 제5항 : 전기안전관리자는 무정전전원장치에 대하여 월차 점검시 별지 제16호 서식에 따라 점검을 실시하여야 한다
●발전설비 점검서식에 용량 적정성 점검 항목 추가 (별지 제 6호 서식)
- 전기안전관리자가 기존 비상발전기 용량 적정성을 체계적으로 관리 할 수 있도록 점검서식에 전동기 최대용량 등을 추가
(변경) [별지 제16호서식] 발전설비 점검기록표에 최대용량 등 항목추가
카카오 데이터센터 화재에 의한 영향인지 무정전전원장치 즉, UPS에 대하여 전기안전관리자가 매월 점검을 해야한다는 내용이 추가되었는데요
점점 더 전기안전관리자의 역할이 추가가 되면서 비중이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
이에 대해 전기안전관리자는 앞으로 더욱더 전기설비를 점검 및 관리해야하는 항목들에 대해 중점적으로 안전관리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
'전기안전관리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기안전관리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사항 - 2023년 (0) | 2023.04.18 |
---|---|
공동주택 근무하는 전기안전관리자를 위한 공동주택 세대내 전기설비 점검 가이드 (0) | 2023.04.18 |
전기안전관리자의 직무고시 (0) | 2023.04.18 |